5. 스토리지
: 스토리지의 대용량화
: 스토리지의 고속화
: 스토리지의 고도화 - 여러 기능의 등장으로 인해 물리 디스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짐
21. 스토리지
: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스토리지
: 스토리지에는 로컬 스토리지와 외부 스토리지가 있다.
: 외부스토리지는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DAS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NAS, SAN으로 나뉜다.
로컬 스토리지
: 서버 내부에 디스크를 설치해서 이용하는 저장 영역
외부 스토리지
: 세가지 형태가 존재한다.
DAS
: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스토리지 장비
: 서버에 RAID 컨트롤러 보드를 꽂아 연결하는 형태와 HBA 보드를 꽂아 연결하는 형태가 있다.
: 전자는 RAID컨트롤러 보드가 RAID구성을 관리하지만, 후자는 스토리지에 내장된 RAID 컨트롤러가 RAID구성을 관리
: 최근에는 DAS를 사용하지 않고 로컬 스토리지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.
NAS
: NAS는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대의 서버가 액세스 할 수 있는 스토리지
: 여러 대의 서버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때나, 여러 대의 서버에서 발생하는 백업 및 로그 파일을 한군데에 모으는 용도로 사용
SAN
: 블록 단위의 데이터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
: 고속, 고품질 환경을 요구하는 환경에서 사용
RAID와 핫스페어
: 여러 개의 디스크로 RAID를 구성하여 큰 스토리지 영역으로 사용함, 이를 볼륨이라고 부름
: 핫스페어란 다른 디스크가 망가졌을 때를 위해 대기하는 디스크
22. 외부 스토리지 이용
: 저장 영역을 많이 확보하고 싶다
: 디스크 I/O 성능을 높인다. - 대역폭이 넓어지므로
: 스토리지를 통합해서 집중 관리한다.
: 복수의 서버에서 데이터 공유
23. 스토리지의 고급 기능
씬 프로비저닝
: 물리 스토리지 용량보다 많은 논리 볼륨을 할당할 수 있는 기능
: 가상 서버 환경에서 효과적이다.
자동 계층화
: 서로 다른 성능의 디스크를 조합하여 이용 빈도가 높은 데이터는 고가의 빠른 장비에 저장
: 구현 방법은 제품에 따라 달라지며, 캐싱과 비슷한 원리인듯!
디둡
: 중복 제거 기능
: 백업 시에 중복되는 데이터를 제거하여 저장하므로, 물리 스토리지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.
스냅샷
: 어떤 순간의 파일 시스템의 정지점을 순간적으로 보존해 두는 기능
: 파일을 복사해 두는 것이아니라, 갱신 이력 정보를 관리함으로써, 이전 포인터를 저장하는 것