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가 생각하는 인프라 엔지니어의 역할
: 정보화 사회의 고도화된 IT 인프라를 지탱하는 일
: 과거에는 비즈니스의 안정적인 지원이었지만, 현재에 이르러서는 비즈니스의 혁신을 주도한다.
1.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
인프라 설계
: 인프라를 만드는 목적을 이해해야 한다.
: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 등을 정리한다.
: 비용과 기간을 예측하여 기획서와 설계서를 작성한다.
: 책임자에게 결제를 올린다.
인프라 구축
: 직접하는 경우도 있고, 오퍼레이터나 외부 업체에 맡길 때도 있다.
: 기기의 운반과 조립, 장착, 설치, 설정, 동작 테스트, 부하테스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.
: CE(Customer Engineer) : 하드웨어 관련 작업
: SE (System Engineer) : 서버나 스토리지 설정
: NE(Network Engineer) : 네트워크 장비 설정
: 이런식으로 분업화 하기도 한다.
인프라 운영
: 24시간, 365일 내내 가동되어야 함.
: 장애대응, 수용량 관리,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으로 나눌 수 있다.
장애대응
: 하드웨어 고장, 급격한 액세스 증가에 대한 대책, 부적절한 권한 설정에 의한 액세스가 불가능한 상황의 해소
수용량 관리
: 액세스 수나 데이터 양이 유동적이므로, 적절하게 조정한다.
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
: 프로그램의 버그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실수 일수도 있다.
2.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
퍼실리티
: 건물, 시설, 설비등을 의미
: 데이터 센터와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랙, 에어컨, 발전기, 변압기, 소화 설비등이 포함.
서버, 스토리지
: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
네트워크
: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네트워크
3. 기술자 관점에서 보는 인프라 엔지니어
: 요청된 과제에 대해 기술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답을 제안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함.
: 단기간에 본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자
: 최신 동향에도 정통해야함.
서버 하드웨어
서버 운영체제
스토리지
: 스토리지 가상화, 씬 프로비저닝, 중복제거, 스냅샷 등 신기술이 등장.
: 각 기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적절한 스토리지를 선정
네트워크 설계와 구축
: TCP/IP로 거의 집약
네트워크 장비
: 통신의 교환
: 네트워크 장비는 업체마다 명령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업체별 명령 체계를 학습해야할 필요가 있다.
4. 선정자로서의 인프라 엔지니어
시스템 구성
서버 사양 선정
: CPU, 메모리, 디스크, RAID, NIC, PSU의 이중화 필요성, 보수연수, 보수 레벨, 확장성, 물리적 크기 및 중량 등이 있다.
네트워크 구성
데이터 베이스 설계
운영 시스템
: 장애의 발생을 시스템 감지 도구로 감지하고, 장애 발생을 감지했을 떄만 사원이 대응한다.
: 1차 대응은 MSP 업체에 위임하고, 해결되지 않을 때 사원에게 문제를 전달하여 단계적으로 대응
: 별도의 조직을 통해 24시간, 365일 감시 운용 시스템을 구축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