: 스토리지의 대용량화

: 스토리지의 고속화

: 스토리지의 고도화 - 여러 기능의 등장으로 인해 물리 디스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짐


21. 스토리지

: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스토리지

: 스토리지에는 로컬 스토리지와 외부 스토리지가 있다.

: 외부스토리지는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DAS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NAS, SAN으로 나뉜다.

로컬 스토리지

: 서버 내부에 디스크를 설치해서 이용하는 저장 영역

외부 스토리지

: 세가지 형태가 존재한다.

DAS

: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스토리지 장비

: 서버에 RAID 컨트롤러 보드를 꽂아 연결하는 형태와 HBA 보드를 꽂아 연결하는 형태가 있다.

: 전자는 RAID컨트롤러 보드가 RAID구성을 관리하지만, 후자는 스토리지에 내장된 RAID 컨트롤러가 RAID구성을 관리

: 최근에는 DAS를 사용하지 않고 로컬 스토리지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.

NAS

: NAS는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대의 서버가 액세스 할 수 있는 스토리지

: 여러 대의 서버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때나, 여러 대의 서버에서 발생하는 백업 및 로그 파일을 한군데에 모으는 용도로 사용

SAN

: 블록 단위의 데이터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

: 고속, 고품질 환경을 요구하는 환경에서 사용

RAID와 핫스페어

: 여러 개의 디스크로 RAID를 구성하여 큰 스토리지 영역으로 사용함, 이를 볼륨이라고 부름

: 핫스페어란 다른 디스크가 망가졌을 때를 위해 대기하는 디스크


22. 외부 스토리지 이용

: 저장 영역을 많이 확보하고 싶다

: 디스크 I/O 성능을 높인다. - 대역폭이 넓어지므로

: 스토리지를 통합해서 집중 관리한다.

: 복수의 서버에서 데이터 공유


23. 스토리지의 고급 기능

씬 프로비저닝

: 물리 스토리지 용량보다 많은 논리 볼륨을 할당할 수 있는 기능

: 가상 서버 환경에서 효과적이다.

자동 계층화

: 서로 다른 성능의 디스크를 조합하여 이용 빈도가 높은 데이터는 고가의 빠른 장비에 저장

: 구현 방법은 제품에 따라 달라지며, 캐싱과 비슷한 원리인듯!

디둡

: 중복 제거 기능

: 백업 시에 중복되는 데이터를 제거하여 저장하므로, 물리 스토리지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.

스냅샷

: 어떤 순간의 파일 시스템의 정지점을 순간적으로 보존해 두는 기능

: 파일을 복사해 두는 것이아니라, 갱신 이력 정보를 관리함으로써, 이전 포인터를 저장하는 것

'독후감 >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. 네트워크  (0) 2017.12.01
3. 운영체제  (0) 2017.12.01
2. 서버  (0) 2017.12.01
1.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  (0) 2017.12.01

: 복수의 노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한 집합체이다.

: 네트워크 장비란, LAN케이블과 광섬유 케이블 등을 집약해 통신을 교환하는 장치를 말한다.

: 네트워크 장비도 랙 마운트형 서버처럼 19인치 랙에 넣는 것을 전제로 한 유닛단위의 형태로 되어있다.

: 네트워크 장비에는 라우터, L2스위치, L3스위치, L4스위치, L7스위치 등이 있다.


16. 네트워크 장비 선택

라우터의 역할

: 수신한 패킷을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

: LAN끼리의 통신을 한다.

: 라우터가 패킷을 받으면, 라우터는 패킷에 있는 목적지인 IP 주소를 보고 적절한 라우터로 전송한다.

: 라우팅 테이블에 패킷의 IP가 존재하는 경우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서 전송하지만, 아닐 경우에는 기본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.

라우팅 테이블 관리 방법

스태틱 라우팅

 : 라우터에 경로 정보를 수동으로 등록

 : 통신 경로가 제한되는 사내 데이터 센터의 경우 스태틱 라우팅이 최적

다이내믹 라우팅

: 이웃한 라우터와 통신하여 라우터끼리 경로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

: RIP, OSPF, BGP 등의 라우팅 프로토콜 사용

: 외부 라우터와 접속이 빈번할 때 사용

라우터의 선택 포인트

: 상위 회선의 인터페이스와 일치하는 WAN 인터페이스를 가져야함

: WAN에서의 통신대역보다 큰 것은 의미가 없다.

: 스루풋

: 단위 시간당 데이터 전송량

: 통신량이 많으면 스루풋이 높고 빠른 라우터를 도입해야함.

: 보안 기능을 라우터에도 요구할 것인가?

: 특정 TCP/UDP 포트번호나 특정 IP주소를 차단하는 필터링 기능

: 대규모의 경우 라우터와 보안을 분리하는게 좋음.

: 도입비용

: 1Gbps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라우터가 있을 떄, 고가의 라우터가 해당 속도에 가깝게 나온다.

L2와 L3스위치의 역할

L2 스위치

: 업무용 스위칭 허브

: L2 스위치에 프레임이 들어오면, MAC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프레임을 전송한다.

: 해당 MAC주소가 없다면, LAN 내 전체에 브로드 캐스트 해서 응답이 있는 포트로 전송한다.

L3 스위치

: 라우터 기능이 추가된 L2 스위치

: 목적지 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패킷을 전송한다.

L2와 L3 스위치 선택 요령

인터페이스의 속도와 포트 수

: 필요한 인터페이스 속도와 포트 수를 만족하는지?

지능형 또는 비지능형

: 지능형 스위치는 웹 접속 혹은 텔넷 접속으로 포트 설정을 변경하거나 스위치의 상태 및 통신량을 확인할 수 있다.

스위칭 능력과 스위칭 용량

: 대량의 통신을 빠짐없이 빠르게 전송하는 것

- 스위칭 능력, 스위칭 용량, 와이어 스피드와 논블로킹

하드웨어 처리와 소프트웨어 처리

: 사용하는 기능이 하드웨어 처리인지 소프트웨어 처리인지?

: 소프트웨어 기능을 너무 사용할 경우, CPU사용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방화벽같은 경우에는 장비를 따로 쓰는게 낫다.

L4와 L7 스위치(로드 밸런서)를 선택한다.

: 로드밸런서(부하 분산 기능)가 달린 L3 스위치이다.

- L4 : IP와 TCP/UDP 포트를 보고 적절한 서버로 패킷을 전송한다.

- L7 : URL을 보고 적절한 서버로 전송한다.

: 특징은 부하를 분산할 때 서버가 살았는지 죽었는지 감시한다는 점.

: L4 스위치는 서버의 IP 주소와 TCP/UDP 포트의 조합을 일정 간격으로 감시해, TCP/UDP 포트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그 포트의 기능이 정지됐다고 판단.

: L7스위치도 특정 URL을 일정 간격으로 감시하고 예정한 응답이 돌아오지 않으면 부하 분산 대상에서 제외한다.

: L4/L7 스위치를 선택할 때 같은 업체 제품으로 하면 명령체계가 통일되므로 다루기 쉽다.


: IA 서버는 다른 업체에서도 같은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업체가 바뀌어도 크게 위화감이 없지만,

: 네트워크 장비는 서로 독자적인 OS를 사용하기 때문에 명령체계가 다르다.


17. 네트워크의 토폴러지

: 네트워크 설계는 조건과 환경에 따라 무수한 조합이 있지만, 자주 사용되는 몇 가지 패턴을 소개한다.

프론트 엔드와 백엔드 2계층 구조

프론트 엔드 계층

: 인터넷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

: 서버에 글로벌 IP를 부여해서 인터넷에서 직접 통신하는 경우와

: L4 스위치를 매개로 인터넷과 통신하는 경우

백엔드 계층

: 인터넷에서 먼 곳에 위치

: 프론트 엔드 계층을 거쳐야만 액세스 할 수 있음

: 외부에서 직접 해킹 공격을 받지 않음

3계층 구조

코어 계층

: 네트워크 하나에 코어계층 한 세트를 설치

: 디스트리뷰션 계층에서 오는 통신을 집약해 인터넷에 연결

디스트리뷰션 계층

: 디스트리뷰션 계층의 통신을 집약해서 코어 계층에 연결하고 액세스 계층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.

: 사무실에서는 각 층마다 디스트리뷰션 계층을 한 세트 배치한다.]

액세스 계층

: 서버에서 오는 통신을 집약해서 디스트리뷰션 층에 연결

: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2게층 구조가 액세스 계층에 놓인다.


네트워크 패브릭 구조

: 기존에는 네트워크 구성이 정해지면 구성제약 속에서 서버와 랙의 물리적 배치를 결정해야만 했다.

: 하지만, 서버의 성능 향상 및 가상화의 보급으로 서버 한대에서 입출력 되는 트래픽이 계속 늘어나면서, 네트워크 장비가 병목을 일으키는 상황이 증가하였다.

: 액세스 계층의 L2 네트워크를 가상화 하여 물리적으로 다른 랙이나 스위치를 논리적으로 한 네트워크로 보이게 하는 기술


18. 네트워크 기본용어 요점 정리

TCP/IP

: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프로토콜

OSI 참조 모델

TCP와 UDP

- TCP 

: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고 고품질 통신을 실현한다.

: 패킷의 순서를 재배열할 수 있고, 패킷이 유실될 경우 재전송한다.

: 오버헤드가 크고 UDP와 비교하면 느리다

: 신뢰성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

- UDP

: 비연결형 프로토콜이고 저품질이지만 속도가 빠름

: 음성 전화나 동영상등 정보가 일부 유실돼도 문제없는 애플리케이션에 이용

3웨이 핸드쉐이크 : SYN과 ACK

: TCP연결에서는 3웨이 핸드쉐이크를 거쳐서 TCP 연결을 확립함.

: SYN과 ACK를 서로 주고받음

스위칭과 라우팅

: LAN 안에서 L2 스위치를 통한 통신을 스위칭이라고 한다.

: 라우터 혹은 L3 스위치를 통해서 LAN과 LAN 사이를 걸쳐 통신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한다.

IPv4와 IPv6

: 앞으로 IPv6의 동향을 지켜보아야 한다.

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묶는다

: 주요 운영체제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묶어서 사용할 수 있다.

: 여러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같은 IP 주소나 MAC주소를 부여해서 통신하는 구조

: 내장애성이 올라가고 대역이 늘어나는 효과

: 본딩, 티밍, 링크 어그리게이션, 이더채널, 포트 트랭킹


19. 인터넷 연결

: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라우터 혹은 L3 스위치가 외부 네트워크 회선에 연결되어야 한다.

: 요금제 - 고정대역 사용 무제한, 종량과금


20. 네트워크 케이블

: 네트워크 배선에 사용되는 케이블이란?

LAN 케이블

: UTP 케이블,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, 이더넷 케이블 등...

: 이더넷이 고속화 됨에 따라서 LAN 케이블도 점점 새로운 규격이 등장하고 있다.

: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에는 CAT5e, 네트워크 장비간의 통신에서는 CAT6~CAT7

광파이버 케이블

: 멀티 모드 파이버, 싱글 모드 파이버

: 네트워크 장비 내부에서는 전기 신호로 전달되므로, 광신호와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트랜시버가 이용됨.


'독후감 >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스토리지  (0) 2017.12.02
3. 운영체제  (0) 2017.12.01
2. 서버  (0) 2017.12.01
1.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  (0) 2017.12.01

13. 리눅스

: 오픈소스의 대표적인 운영체제

: 레드햇 계열과 데비안 계열등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

14. 윈도 서버

: MS가 제공하는 서버용 운영체제

: 익숙한 GUI 때문에 다른 운영체제보다 문턱이 낮은 측면이 있다.

윈도 서버 선정 이유

: 윈도 서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싶다.

: 닷넷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싶다.

: 액티브 디렉터리 환경을 사용하고 싶다.


15. 유닉스

: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으며 이식성이 뛰어난 C언어로 작성

: 소스 코드 크기가 비교적 작아서 다양한 플랫폼에 이식됨.

: 엔터프라이즈 서버 운영체제로 이용되는 일이 많음.

대표적인 유닉스 운영체제

: AIX, Solaris, HP-UX


'독후감 >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스토리지  (0) 2017.12.02
4. 네트워크  (0) 2017.12.01
2. 서버  (0) 2017.12.01
1.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  (0) 2017.12.01

다른 개발자로부터 이해 받길 원하기 보다는 이해 하기를 우선으로 하라!


: 서버란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하드웨어를 말한다.

: 형태의 차이, 등급의 차이, 물리서버가 아닌 형태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. 


5. 서버의 종류

랙 마운트형과 타워형 서버의 차이

랙 마운트형 서버

: 데이터 센터나 서버 룸에 설치된 랙 안에 들어간다.

: 19인치 랙에 수용하는 것을 전제로 함. (1U는 1.75인치)

타워형 서버

: 사내 서버룸에 설치되거나 사무실 또는 점포등에도 설치


: 소음과 설치 장소,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.

엔트리, 미들레인지, 하이엔드 서버

: 서버의 용도에 따라 등급이 달라진다.

엔트리 서버

: 웹 서버나 애프릴케이션 서버에 이용

미들레인지 서버

: DB서버나 기간계 서버에 이용(미션 크리티컬 시스템, 엔터프라이즈 시스템, 백본 시스템 등...) - 기업 경영의 핵심이 되는 재무, 업무, 생상관리 시스템

하이엔드 서버

: DB나 기간계 서버에서 시용

IA서버

: 인텔이나 AMD등 인텔 호환  CPU를 탑재하고 일반 컴퓨터와 같은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버

엔터프라이즈 서버

: 기간계에 사용되는 서버



TIP - 서버와 일반 컴퓨터의 차이

: 서버는 일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메인보드, CPU, 메모리, 디스크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.

: 부품 자체의 품질이 더 높아서 고장이 잘 나지 안흔다.

: 업체의 AS가 충실하다.

: 훨씬 더 많은 추가 메모리와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.

: 일반 컴퓨터는 그래픽, 음향등 멀티 미디어 기능에 충실하다.


6. 서버 선정

서버의 조건

: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의 사용량을 정하고 나서 CPU, 메모리, 디스크, NIC 포트 수 등을 결정한다.

서버 사양 결정 방법

: 실제 환경을 시험적으로 구축해 측정 결과를 보고 판단한다.

: 임시로 결정한 서버 사양의 기기를 현장에 투입해 실제 하드웨어 자원의 이용 상황을 측정한 다음, 서버와 서버의 부품을 늘리거나 줄인다.

: 소거법으로 사양을 좁혀간다.

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

: 스케일 아웃은 서버의 수를 늘려서 수용량을 늘리는 방법

: 스케일 업은 성능이 부족해지면 서버의 하드웨어적인 성능을 높이는 방법


7. CPU

성능과 발열, 소비 전력

: 예전에는 주파수를 높여서 성능을 증가시켰지만, 최근에는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발생하는 소비 전력의 비용이 더 크게 되었다.

: 따라서 최근에는 멀티코어나, 하나의 CPU에서 여러 연산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연산 능력을 향상시키려고 한다.

CPU용어

: 소켓수, 코어수, 스레드 수, 동작 주파수, 캐시, 하이퍼스레딩, 터보부스트

CPU 선정의 포인트

: 성능, 가격, 사용할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체계, 소비전력


8. 메모리

: 단기 기억 영역

: 용량도 중요하지만, 서버용 메모리에서는 내장애성, 성능, 저전력 등이 중시된다.

성능

: 메모리 자체의 속도와, 데이터 전송폭을 고려한다.

메모리 용어

: 슬롯, ECC메모리, 채널, 랭크...


9.디스크의 종류

: 가정용에서는 일반적으로 SATA 하드 디스크와 SSD가 사용, 업무용에서는 더 다양한 디스크가 존재한다.

SATA 하드 디스크

: 저렴하다, 하루 8시간 가동용도로 사용

SAS 하드 디스크

: 고속으로 동작하고 신뢰성이 높다. 24시간 365일 가동

FC 하드 디스크

: 초고속으로 동작하고 신뢰성이 높다, SAN스토리지 등 엔터프라이즈 용도로 사용

그 밖의 디스크

: 니어라인 하드 디스크, ssd, 엔터프라이즈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

10. RAID

: 성능과 내장애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

: 병렬로 연결하거나 패리티 체크, 로그 저장 용도로 구현

11. 가상화

: 예전에는 한대의 물리 서버에는 보통 하나의 운영체제만 가동할 수 있었다.

: 반면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, 한 대의 물리 서버에서도 여러 개의 게스트 운영체제를 가동할 수 있다.

: CPU, 메모리, 네트워크,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각 게스트 운영체제에 자유롭게 할당한다.

물리서버와 가상서버의 특징

물리서버

: CPU 사용률과 디스크 I/O부하, 디스크 사용 용량이 많은 용도에 적합

: DB서버,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이 적합

가상 서버

: CPU사용률과 디스크 I/O, 디스크 사용 용량이 적은 용도에 적합

: 웹서버, 개발 서버, 메모리 DB 등이 적합

물리서버를 가상화할 때의 장점과 단점

장점

: 비용을 줄일 수 있다.

: 게스트 운영체제의 하드웨어 자원을 유동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

: 하드웨어에 종속적이지 않다.

단점

: 다른 운영체제가 하드웨어 자원을 많이 사용하면, 다른 게스트의 운영체제의 동작이 불안정하다.

: 관리가 생각보다 쉽지 않다.( 까먹고 자원을 계속 할당해놓을 수도 있음 )

가상화 모델

: 하드웨어 자원 및 게스트 운영체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.

: OS위에 게스트 운영체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두고 가상화 환경을 다룸.

: 중간에 OS를 두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생겨 동작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.

: 호스트 운영체제 대신 하이퍼 바이저를 두고 운영

: 빠른 동작속도를 기대할 수 있음.

: 개인 PC에서는 호스트 운영체제 타입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지만, 서버에서는 하이퍼바이저 타입을 채용하는 일이 많음.

가상화 환경의 종류

VMware vSphere

: vmware 사가 제공

Hyper-V

: MS가 제공

Xen

: 캠프리지 대학교의 연구 프로젝트로 시작되어 리눅스 재단에서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하고 있다.
: IaaS형 클라우드로써 AWS와 구글이 지원한다.

KVM

: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에서는 KVM만 지원하고 있음.

가상화 환경을 선택하는 방법

: 윈도우와 리눅스가 섞여 있는 환경에서는 VMware를 사용

: 윈도우가 중심인 환경에서는 Hyper-V

: 리눅스가 중심인 환경이고 초기 도입 비용을 들이고 싶지 않을때는 Xen이나 KVM

: 레드햇은 KVM


12. 클라우드 : IaaS

: 인터넷을 거쳐서 제공되는 컴퓨터 자원을 이용하는 것

: SaaS, PaaS, IaaS로 분류된다.

SaaS :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로써 제공한다.

PaaS :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서비스로써 제공한다.

IaaS : 시스템 인프라를 서비스로써 제공한다.


IaaS특징

: 사내에 물리서버를 두지 않으므로, 물리 서버를 관리하는 엔지니어가 필요없다.

: 이용 신청을 하면 단기간에 운영체제가 설치된 상태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.

: 이용하고 싶은 만큼 서버를 증강할 수 있다.

: 사용한 만큼 비용이 발생하는 종량과금제이다.

: 감가상각을 할 필요가 없고, 이용료를 그대로 비용처리하면 된다.


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인프라 이용

: 네트워크 환경 구축 - 물리서버 구매 및 장착 -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설정의 과정을 생략가능


클라우드와 서버 운영

클라우드의 약점

: 스케일 업에 약하다.

: 이런 이유로 DB만은 물리서버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업체도 있다.

: 물리 서버 장애에 대해서 무력하다.

: 바로 다른 물리 서버에서 인스턴스를 시작하는 대처 방법도 있다.

: 업체의 착오로 데이터 소실의 위험이 존재한다.

: 항상 백업을 해야 한다.


클라우드에 맞지 않는 용도

기밀 정보 저장

: 정보가 인터넷을 거쳐 간다는 점.

: 직접 관리할 수 없는 곳에서 기밀 정보 유출이 발생할 위험이 존재한다.

대용량 파일 전송

: 사내에 서버를 설치할 떄 본다 파일 전송이 느려진다.

대규모 시스템

: 시스템 규모가 커지면, 직접 장비를 보유하는 편이 비용면에서 유리하다.






'독후감 >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스토리지  (0) 2017.12.02
4. 네트워크  (0) 2017.12.01
3. 운영체제  (0) 2017.12.01
1.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  (0) 2017.12.01

내가 생각하는 인프라 엔지니어의 역할

: 정보화 사회의 고도화된 IT 인프라를 지탱하는 일

: 과거에는 비즈니스의 안정적인 지원이었지만, 현재에 이르러서는 비즈니스의 혁신을 주도한다.



1.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

: 크게 인프라 설계, 인프라 구축, 인프라 운영 세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.

인프라 설계

: 인프라를 만드는 목적을 이해해야 한다.

: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 등을 정리한다.

: 비용과 기간을 예측하여 기획서와 설계서를 작성한다.

: 책임자에게 결제를 올린다.

인프라 구축

: 직접하는 경우도 있고, 오퍼레이터나 외부 업체에 맡길 때도 있다.

: 기기의 운반과 조립, 장착, 설치, 설정, 동작 테스트, 부하테스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.

: CE(Customer Engineer) : 하드웨어 관련 작업

: SE (System Engineer) : 서버나 스토리지 설정

: NE(Network Engineer) : 네트워크 장비 설정

: 이런식으로 분업화 하기도 한다.

인프라 운영

: 24시간, 365일 내내 가동되어야 함.

: 장애대응, 수용량 관리,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으로 나눌 수 있다.

장애대응

: 하드웨어 고장, 급격한 액세스 증가에 대한 대책, 부적절한 권한 설정에 의한 액세스가 불가능한 상황의 해소

수용량 관리

: 액세스 수나 데이터 양이 유동적이므로, 적절하게 조정한다.

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

: 프로그램의 버그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실수 일수도 있다.


2.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

퍼실리티

: 건물, 시설, 설비등을 의미

: 데이터 센터와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랙, 에어컨, 발전기, 변압기, 소화 설비등이 포함.

서버, 스토리지

: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

네트워크

: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네트워크


3. 기술자 관점에서 보는 인프라 엔지니어

: 요청된 과제에 대해 기술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답을 제안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함.

: 단기간에 본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자

: 최신 동향에도 정통해야함.

서버 하드웨어

: IA(Intel Architecture) 서버와 엔터프라이즈 서버 두가지가 존재

서버 운영체제

: 거이 리눅스, 윈도우, 유닉스 세가지로 집약

스토리지

: 스토리지 가상화, 씬 프로비저닝, 중복제거, 스냅샷 등 신기술이 등장.

: 각 기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적절한 스토리지를 선정

네트워크 설계와 구축

: TCP/IP로 거의 집약

네트워크 장비

: 통신의 교환

: 네트워크 장비는 업체마다 명령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업체별 명령 체계를 학습해야할 필요가 있다.


4. 선정자로서의 인프라 엔지니어

시스템 구성

: 어느 규모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?

서버 사양 선정

: CPU, 메모리, 디스크, RAID, NIC, PSU의 이중화 필요성, 보수연수, 보수 레벨, 확장성, 물리적 크기 및 중량 등이 있다.

네트워크 구성

: 보증기간, 업체, 스위치를 몇개?, 수용량, 이중화 여부 등등...

데이터 베이스 설계

: RDBMS, 필요 용량 계산,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물리적인 데이터 배치 결정

운영 시스템

: 시스템을 어떻게 감시하고 운영할 것인지?

: 장애의 발생을 시스템 감지 도구로 감지하고, 장애 발생을 감지했을 떄만 사원이 대응한다.

: 1차 대응은 MSP 업체에 위임하고, 해결되지 않을 때 사원에게 문제를 전달하여 단계적으로 대응

: 별도의 조직을 통해 24시간, 365일 감시 운용 시스템을 구축


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
국내도서
저자 : 사노 유타카 / 김성재역
출판 : 길벗 2014.06.20
상세보기


'독후감 >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스토리지  (0) 2017.12.02
4. 네트워크  (0) 2017.12.01
3. 운영체제  (0) 2017.12.01
2. 서버  (0) 2017.12.01

+ Recent posts